워크웨어 원단 종류 재질 잘 고르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워크웨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재질’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우리는 흔히 작업복이나 워크웨어를 고를 때
디자인이나 브랜드에 먼저 눈이 가지만,
사실 진짜 중요한 건 바로 ‘소재’입니다
피부에 직접 닿는 만큼 착용감은 물론, 계절이나
작업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기능성도 다르기 때문이죠
오늘은 워크웨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재들을
하나씩 살펴보며,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데님(Denim)
튼튼함과 스타일,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대표 원단
데님은 워크웨어의 원조라 불릴 만큼 역사가 깊은 원단입니다
트윌(사선 직조) 방식으로 짜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입을수록 자연스러운 워싱이 생겨 스타일리시함까지 갖췄죠
예전에는 주로 작업복에만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일상복에서도 없어서는 안 될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데님의 가장 큰 장점은 어디에나 어울리는 범용성입니다
강한 내구성과 세월이 더해질수록 멋스러워지는 질감
덕분에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나일론(Nylon)
합성섬유의 시작이자, 실용성과 가성비를 갖춘 소재
나일론은 1938년 듀폰(DuPont)사에서
개발된 최초의 합성섬유입니다
가늘고 가벼우면서도 인장 강도가 높아 스타킹부터
가방, 아웃도어 의류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어요
제조 단가가 낮아 가성비가 뛰어나고, 다양한 가공 방식으로
활용도 또한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워크웨어에서도 활동성이 중요한 제품군에 자주 쓰이는 이유죠.
고어텍스(Gore-Tex)
아웃도어의 혁신을 가져온 방수·방풍 소재
고어텍스는 비와 눈을 완벽하게 막으면서도 땀은
배출할 수 있는 ‘숨 쉬는 소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고어텍스의 멤브레인에는 수십억 개의 미세한 구멍이 있어
수분은 차단하고 수증기는 빠져나가게 해 줍니다
이 덕분에 등산, 스키, 사이클링 등 아웃도어 활동에 최적화된
소재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는 신발, 장갑 등 다양한 제품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기능성과 혁신성을 모두 갖춘 대표적인 고기능성 소재입니다.
코듀라(Cordura)
내구성 최강, 맞춤형 기능성 소재
코듀라는 미국의 인비스타(Invista)사가 개발한 소재로,
일반 폴리에스터보다 3배, 나일론보다 2배 이상 강한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현재는 용도에 따라 무려 16종류로 나뉘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세분화되어 있죠
가볍고 튼튼하며, 방수 기능까지 갖춰 백팩, 캐리어, 워크웨어,
아웃도어 장비에 이르기까지 매우 널리 쓰이고 있는 소재입니다
워크웨어에서도 특히 강한 내구성을 요하는 제품에 활용됩니다
케블라(Kevlar)
강철보다 강한, 방탄복에서 의류까지 활용되는 다재다능 섬유
듀폰(DuPont)사가 개발한 케블라는 같은 무게 기준으로
강철보다 최대 10배 강한 인장강도를 지닌 고기능성 섬유입니다
방탄복이나 군수용품에 주로 쓰였지만, 이제는 산업용 장갑,
오토바이복, 심지어 패션 의류까지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높은 내열성과 강도를 갖추고 있음에도 가볍기 때문에,
강력한 보호와 활동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워크웨어는 단순한 작업복 그 이상입니다
패션과 기능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하나의 기술력의 집약체라고 할 수 있어요
어떤 재질이 쓰였는지에 따라 착용감, 내구성,
안전성, 심지어 스타일까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좋은 워크웨어를 고르고 싶으시다면? 디자인뿐 아니라
‘재질’의 특징도 꼭 확인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